안녕하세요. 오늘은 직장인 세금 절세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직장 근로자의 경우 사업자와는 다르게 세금을 원천징수한 후 월급으로 받게 됩니다. 그렇게 매달 매달 받는 급여명세서를 보시면서 저 ‘돈’만 안내도 더 여유로울텐데 라는 생각은 누구나 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납부하는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습니다. 크게 보면 3가지 정도로 나누어질 수 있습니다.
- 소비를 통한 소득공제
- 체크카드, 신용카드를 활용한 소득공제
- 연금저축을 통한 세액공제
위 3가지의 특징은 투입되는 금액 대비 실제로 적용되는 공제가 많지 않다는 것입니다. 소비를 통한 소득공제일 경우 급여의 25% 이상 소비를 해야 그 초과분부터 적용됩니다.
만약 나의 소득이 4,000만원이라면 1,000만원 (25%) 이상 소비를 해야 소득공제 대상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초과분에 대해 소득공제율이 높은가 보면 또 아닙니다. 체크카드의 경우 30%, 신용카드의 경우 15%가 적용되며, 최대 소득공제 한도는 300만원으로 매우 낮습니다.
1,500만원을 소비하고 체크카드로 30%의 소득공제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실제 적용되는 금액은 150만원이며, 과세표준 기준 세율을 적용한다면 실제 절세받는 세율은 더욱 더 낮아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생각해보면 절세를 위해 소비를 하는 것 보다 조금 더 절약하는 것이 수익률 관점에서 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직장인분들은 어떻게 세금을 줄일 수 있을까요?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많으나 그 효과들이 미미합니다. 하지만 오늘 소개해드리는 상품은 소득공제 효과가 현재 국내 출시된 절세 상품들 중 가장 높은 상품에 속합니다.
소득공제형 채권입니다. 소득공제형 채권은 납입 금액 3,000만원 한도로 3,000만원까지 100%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만약 500만원을 납입했을 경우에 500만원이 그대로 소득공제 됩니다. 500만원을 추가 소비해야 150만원이 적용되는 카드 소득공제와 달리 3배 이상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소득공제형 채권은 소비를 통한 소득공제가 아닌 3년 만기 채권으로 다시 되돌아오는 상품이기 때문에 카드 소득공제에 비해 압도적으로 효과적이라 볼 수 있습니다.
소득공제형 채권 처음 들어보는데 어떤 상품인가요?
소득공제형 채권은 조세특례제한법 제 16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상품입니다. 기업 및 민간투자활성화를 위해 정부에서 재정한 시장 활성화 정책입니다.
기업 주도로 성장하는 사회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정부의 주요한 과제이기 때문에 정부입장에서 이렇게 높은 세금 혜택을 주는 것입니다.
소득공제형 채권은 ‘브이펀드’에서 처음 출시한 상품으로 6년간 부실없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브이펀드로 인해 소득공제형 채권의 관심도가 높아져 다른 기업들도 비슷한 상품명과 회사명으로 소득공제형 채권을 출시하고 있지만 운용방법에 있어서 전혀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브이펀드에서 운영하는 소득공제형 채권은 전환사채 형태로 기업 등기부에 직접 등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운용의 방향성이 철저하게 원금회수에 맞춰져 있습니다.
몇몇 기업들은 원금회수가 아닌 초과수익을 목표로 운용하기 때문에 요즘 같이 경제가 좋지 않을 경우 부실이 발생됩니다.
브이펀드는 6년간 단 한 건의 부실도 발생되지 않게 운영되고 있으며, 초기 투자자분들은 현재까지도 매년 높은 소득공제를 받고 있습니다.
직장인 세금, 너무 많이 내고 있으나 해결할 방법이 보이지 않는다면 브이펀드에서 운영하는 소득공제형 채권을 통해 준비해 보시는 것은 어떠실까요?
감사합니다.
소득공제형 채권 No.1 투자 전문 플랫폼 - 브이펀드
소득공제형 채권 3,000만원까지 100% 소득공제 투자정보 플랫폼 :: 한국벤처창업 운영
v-fund.co.kr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세금 절세 방법 (직장인편) - 2023 (0) | 2023.09.22 |
---|---|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앞으로 이걸로 준비하세요. (0) | 2023.08.30 |
세근환금 받는 똑똑한 방법, 소득공제형 채권 (0) | 2023.07.31 |
직장인 절세, 요즘 똑똑한 사람은 다하는 이것!! (0) | 2023.07.31 |
고소득자 재테크 | 지출 세금을 줄이는 것부터 시작이다. (0) | 2023.07.03 |